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by 남아리 2025. 3. 21.

고양이(학명: Felis catus 펠리스 카투스[*])는 식육목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집고양이의 기원은 약 1만년 전 중동 지역에서 스스로 숲속을 나와 사람들이 모여사는 마을에 정착하여 길들여진 아프리카들고양이(학명: Felis lybica)로 추측된다.[6] 최근 고고학과 유전학의 발전에 따르면 고양이의 가축화는 기원전 7500년경 근동 지역에서 발생했다. 일반적으로 집에서 키우는 반려동물이나 농장 고양이로 사육되지만,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여 야생 고양이로 자유롭게 돌아다니기도 한다. 인간은 우정과 해충을 죽이는 능력을 높이 평가한다. 접을 수 있는 발톱은 생쥐나 쥐 같은 작은 먹이를 죽이는 데 적합하다. 튼튼하고 유연한 몸, 빠른 반사신경,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야간 시력과 후각이 잘 발달되어 있다. 사회적 종이지만 고독한 사냥꾼이자 어두컴컴한 포식자이다. 고양이의 의사소통에는 야옹, 가르릉, 트릴링, 쉭쉭, 으르렁거림, 투덜거림과 같은 발성뿐만 아니라 고양이의 신체 언어도 포함된다. 작은 포유류가 내는 소리와 같이 인간의 귀에는 너무 희미하거나 너무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페로몬을 분비하고 인식한다. 암컷 집고양이는 온대 지역에서는 봄부터 늦가을까지, 적도 지역에서는 일년 내내 새끼를 낳을 수 있으며, 한 번에 낳는 새끼 고양이의 수는 대개 2~5마리이다.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는 고양이 팬시라고 알려진 취미인 등록된 혈통의 고양이로 사육되고 행사에 전시된다. 고양이의 동물 개체수 조절은 난소화 및 중성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지만 고양이의 확산과 반려동물의 유기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야생 고양이가 생겨 조류, 포유류 및 파충류 종의 멸종에 기여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집고양이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반려동물로, 9,560만 마리의 고양이를 소유하고 있으며 약 4,200만 가구가 최소 한 마리의 고양이를 소유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성인의 26%가 고양이를 키우고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반려 고양이의 인구는 1,090만 마리로 추산된다. 2021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길고양이는 2억 2천만 마리, 집고양이는 4억 8천만 마리로 추정된다.